대체거래소(ATS) 출범과 비상장 기업 진입 가능성 분석 보고서

2025. 2. 28. 12:50✨ 처음 만나는 투자 이야기

반응형
SMALL

대체거래소(ATS) 출범과 비상장 기업 진입 가능성 분석 보고서

1. 개요

  • 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란 기존 유가증권시장(KOSPI) 및 코스닥시장과 별도로 운영되는 새로운 형태의 주식 거래 플랫폼입니다. 기존의 정규 주식시장이 한국거래소(KRX)에서 독점적으로 운영되는 반면, ATS는 다양한 거래 참여자에게 유연한 거래 환경을 제공하며, 보다 효율적인 가격 형성 및 유동성 공급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ATS는 보다 낮은 거래 비용과 빠른 체결 속도를 강점으로 가지며, 일부 비상장 주식이나 대체 투자 상품의 거래 가능성도 확대할 수 있습니다.
  • 국내 최초의 대체거래소인 **넥스트레이드(NextTrade)**는 2025년 3월 4일 공식 출범 예정입니다.
  • 초기 거래는 변동성이 낮은 10개 종목을 중심으로 시작되며, 5주차에 약 800개 종목으로 확대될 계획입니다.
  • ATS 출범으로 비상장 기업 및 기존 상장 기업의 유동성 증가가 예상됩니다.

2. 출범 초기 거래 예정 기업 (선정 기준 포함)

현재까지 발표된 정보에 따르면, 출범 초기에는 변동성이 낮고 거래 유동성이 높은 10개 상장 기업의 주식 거래가 우선적으로 허용됩니다. 기업 선정 기준은 △시장 변동성 △일평균 거래량 △재무 건전성 △산업별 대표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습니다.

2.1 유가증권시장(KOSPI) 상장 기업

  • 롯데쇼핑 (023530): 국내 대표 유통업체로, 백화점·마트·편의점 등 다양한 소매 채널 보유.
  • 제일기획 (030000): 삼성그룹 계열의 글로벌 광고대행사로 국내 1위, 해외 사업 확장 중.
  • 코오롱인더스트리 (120110): 화학 및 첨단소재를 기반으로 한 종합 산업기업.
  • LG유플러스 (032640): 국내 이동통신 3사 중 하나로 5G, AI, 스마트홈 서비스 확장 중.
  • S-Oil (010950): 정유 및 석유화학 기업으로, 아람코 계열사.

2.2 코스닥(KOSDAQ) 상장 기업

  • 골프존 (215000): 스크린골프 및 골프 IT 솔루션 선도 기업.
  • 동국제약 (086450):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판매 전문 제약사.
  • 에스에프에이 (056190): 디스플레이·반도체 자동화 장비 제조업체.
  • YG엔터테인먼트 (122870): 글로벌 K-POP 엔터테인먼트 기업.
  • 컴투스 (078340): 모바일 및 블록체인 게임 개발사.

3. 비상장 기업 거래 진입 가능성

현재 비상장 기업의 ATS 거래 여부는 명확히 공개되지 않았으나, 포함 가능성을 평가하는 주요 기준으로는 △재무 건전성 △시장 내 유동성 △사업 지속 가능성 △투자자 보호 요건 등이 고려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금융당국의 규제 정책 및 기업공개(IPO) 준비 여부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향후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3.1 예상 진입 가능 비상장 기업

  • 컬리 (Kurly): 온라인 신선식품 유통 플랫폼(마켓컬리), 기업공개(IPO) 검토 중.
  • 무신사: 국내 최대 온라인 패션 플랫폼으로, MZ세대 중심의 강한 브랜드 파워 보유.
  • 야놀자: 글로벌 여행·숙박 플랫폼,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사업 확대 중.
  • 리디: 웹툰·웹소설 및 전자책 플랫폼으로, 최근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
  • 당근마켓: 지역기반 중고거래 플랫폼으로, 서비스 확장 및 해외 시장 개척 중.
  • 쏘카: 모빌리티(차량 공유) 플랫폼, 최근 흑자 전환 기대.
  • 비바리퍼블리카 (토스): 핀테크 대표주자로, 금융서비스 통합 플랫폼 운영.
  • LG CNS: IT 서비스 및 클라우드, AI 분야 강자로, 기업공개 가능성 제기.
  • 삼성SDS: 삼성 계열 IT 서비스 기업으로, 클라우드 및 보안 솔루션 확장 중.
  • 현대오토에버: 현대자동차그룹 IT 서비스 계열사,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강화 중.

4. 대체거래소의 기대 효과

  • 비상장 기업의 유동성 확대: 기존 K-OTC보다 유리한 거래 환경 제공.
  • 투자자 선택권 증가: 다양한 기업에 대한 투자 기회 확대.
  • 기업 가치 평가 강화: 상장 전 기업의 시장가치 객관적 평가 가능.
  • 자본시장 혁신 촉진: 스타트업 및 중견기업 성장 지원.

 

5. 결론

및 전망

대체거래소는 출범 초기에는 상장 기업 중심으로 운영되지만, 향후 비상장 기업의 진입 가능성이 큽니다. 비상장 기업이 ATS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재무 요건 충족, 거래 유동성 확보, 정보 공시 의무 준수 등이 요구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금융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투자자 보호를 위한 내부 통제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일 수 있습니다. 넥스트레이드의 운영 성과에 따라, 다양한 혁신 기업들이 거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국내 자본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
LIST